목록2018/08 (71)
휴먼노마드
수동분사는 수식하는 명사가 대격이어야만 하며, 불완료 타동사로부터 만들어진다. 수동분사의 형태 수동분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현재수동분사 1) 어간에서 형용사어미와 -ем을 첨가한다. 2) 현재시제의 1인칭 복수형과 어미 -ый를 첨가한다. читаем --> читаемый, покупаем --> покупаемый, называем --> называемый, любим --> любимый, храним --> хранимый. 3) -авать로 끝나는 동사는 -ава를 유지한채 현재수동분사의 어미 -ый를 첨가한다. 예) познавать --> познаваемый 남성 여성 중성 복수 주격 читаемый читаемая читаемое читаемые 생격 читаемого чи..
분사란 동사와 형용사의 특성을 지닌 술어적 형용사이다. 이러한 분사는 형용사처럼 수식하는 명사의 성, 수, 격에 따라 변화한다. 동사로써의 역할도 하기에 분사는 불완료상과 완료상을 지니고 있으며 능동태와 수동태로 존재한다. 분사는 러시아어의 구어체에서 드물게 사용되어지며, 관계대명사 который로 대체되어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재귀동사로부터 만들어지는 분사는 언제나 어미끝에 -ся(сь)를 갖는다. 분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1. 능동분사 1) 현재능동분사 2) 과거능동분사 2. 수동분사 1) 현재능동분사 2) 과거능동분사 능동분사의 형태 능동분사는 명사를 수식하는데 사용되어지며 관계절 который로 대체될 수도 있다. девушка живушая у нас. 우리와 살고 있는 아가씨 девушк..
재귀동사는 주어(주체) 자신에게 행위의 결과가 돌아가는 동사를 말하며 "자동사"에 속한다. 1. 자동사 : 목적어를 가지지 않는 동사. 2. 타동사 :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 재귀동사의 형태 소사 -ся는 재귀대명사 себя의 축소형이다. 보통은 타동사의 동사원형에 소사 -ся. -сь를 붙여 만든다. 단지 가끔 자동사의 원형에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재귀동사로의 변형은 능동분사, 술어부사를 포함한 모든 시제에서 발생하는데 이때도 동사의 활용형뒤에 -ся. -сь를 붙여 만든다. 1. 동사가 자음 ь나 й로 끝나면 -ся를 붙인다. 2. 동사가 모음으로 끝나면 -сь를 붙인다. 재귀동사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1. 동사원형 불완료동사 완료동사 재귀동사 원형 одеваться (옷을)입다. одеть..
러시아어에서는 직설법, 가정법, 명령법이 있다. 명령법은 어떤 사람에게 어떤 것을 하거나 하지 말라고 말할 때 사용되어진다. 명령법의 형태 1인칭에서는 давай와 함께 불완료동사의 동사원형를 사용하거나 또는 완료동사의 단수, 복수 미래시제의 어미와 함께 쓰여진다. 2인칭에서는 주된 명령형태로 격식(-те)과 비격식이 사용되어진다. 불완료동사에서는 3인칭 복수현재시제, 완료동사에서는 3인칭 복수미래시제로부터 만들어지며, 어미 -ат. -ят. -ут 또는 -ют를 탈락시키고 어미 -й. -и. -ь를 삽입하여 비격식형을 만들거나 어미 -йте. -ите. -ьте를 삽입하여 격식형으로 만든다. 1) 현재시제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й나 -йте를 사용한다. 현재형 они чита-ют --> 명령형..
러시아어에서는 직설법, 가정법, 명령법이 있다. 가정법은 실현불가능한 상태나 사실과 대조적인 것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가정법의 형태 러시아어에서 가정법은 불완료동사나 완료동사의 과거시제와 소사 бы를 갖는다. 때때로 소사 бы는 б로 축소되기도 한다. Если я не был бы занятб, я пошёл бы. 내가 바쁘지 않았다면, 나는 갔었을텐데. Если я не был бы занятб는 조건절이며, я пошёл бы 가정절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법은 조건절과 가정절의 복합문이다. 소사 бы의 경우, 위치가 비교적 자유로우며, 접속사와 결합되기도 하며, 동사의 앞이나 뒤에 위치할 수도 있다. Если бы я не был занятб, я бы пошёл. 이러한 소사 бы의 위치에 따라 ..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를 통해 몰도바의 현실에 대해 알아보자. 이 여론조사 보고서는 미국의 재정지원을 받는 International Republican Institute(국제공화연구소)가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표준샘플링을 통해 조사한 내용이다. 1. 몰도바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무엇인가? 순위별로 나열하자면 낮은 임금/연금>부패>실업률>해외이민>도로>물가인상>빈곤 순으로 몰도바 현지인들이 중요문제로 거론하고 있는 대부분은 그동안 조사했던 통계자료와 맥락을 같아 예상했지만, 이 부분에서 "도로"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다소 예상밖의 결과이다. 위의 여론조사를 좀더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가 보자. 2. 당신이 살고 있는 마을/도시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무엇인가? 질문에 대한 범위를 국가에서..
미래시제는 말하거나 쓰는 시간이후에 발생되어질 행위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불완료동사와 완료동사가 미래시제를 가질 수 있다. 미래시제의 용법 미래시제의 의미는 동사가 불완료인지 완료인지에 따라 다르다. 1. 미래시제의 불완료동사 1) 완료에 대한 언급없이 미래에 발생할 행위에 대한 지칭 Мы будем делать это задание 우리는 이 일을 할 것이다. 2) 미래의 어떤 순간에 발생할 진행중인 행위를 표시 В это время я буду смотреть телевизор 그 순간에 나는 TV를 볼 것이다. 3) 미래에 반복될 행위의 표시 Я буду отправлять ей письма каждый день. 나는 매일 그녀에게 편지를 보낼 것이다. 2. 미래시제의 완료동사 1) 완료, 결과..
과거시제는 일반적으로 말하거나 쓰이기 전에 행위가 발생했음을 표현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과거시제는 특별한 어미를 가지게 된다. 과거시제의 용법 과거시제형의 의미는 동사가 불완료상인지 완료상인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된다. 1. 과거시제에서의 불완료동사 1) 말하기 이전의 과거에서 발생한 행위를 지칭 Мы делали это задание 우리는 이 일을 했었다. Вчера вечером я смотрел телевизор, читал книгу. 어제밤 나는 TV를 보고, 책을 읽었다. 2) 과거에 발생했던 진행중인 행위를 표시 В это время я смотрел телевизор. 그 시간에 나는 TV를 보고 있었다. 3) 과거에 반복했던 행위의 표시 Я отправлял ей письма каж..
러시아에서 현재시제는 다음과 같은 행위를 묘사한다. 1. 현재 행위 2. 습관적인 행위 3. 일반적인 사실 4. 과거에 시작되었지만 현재까지 지속되는 행위 현재시제의 동사어미 러시아어의 현재시제는 주체의 인칭과 수에 일치한다. 동사는 현재시제에서 동사활용 1식과 동사활용 2식으로 구별되며 이러한 구분은 어미에서 사용되어지는 모음에 따라 달라진다. 수 인칭 러시아어 1식 동사활용 2식 동사활용 단수 1인칭 я -ю (-у) -ю (-у) 2인칭 ты -ешь/-ёшь -ишь 3인칭 он / она -ет/-ёт -ит 복수 1인칭 мы -ем/-ём -им 2인칭 вы -ете/-ёте -ите 3인칭 они -ют (-ут) -ят (-ат) 1. 1인칭 단수형과 3인칭 복수형에서, 어미 -у, -ут..
문법적 상이란 일반적으로 행위진행의 자연성과 정도를 언급한다. 동사의 상은 어떻게 행위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다른 방식의 시각에 영향을 주거나 화자의 관점에 의존한다. 러시아어에서는 두가지의 동사의 상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불완료상이고, 나머지는 완료상이다. 거의 모든 러시아어의 동사가 불완료상이거나 완료상이다. 불완료동사는 주로 동사적 행위를 규정함으로써 그 절차에 집중되어 있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그것의 완료나 결과를 언급하는 것 없이 행위가 발생했음을 표시하는데 사용되어진다. 불완료상은 행위가 진행중에 있음을 지정하거나, 반복적이거나 습관적인 행위, 사실의 진술 등을 언급한다. В тот момент я читал книгу. 그 순간에 나는 책을 읽고 있었다. (행위가 진행중임) Я читал к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