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노마드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가정법 본문
사실이나 확실성에 입각한 직설법과는 달리, 가정법은 가능성, 상상의, 조건적 또는 선택적인 행위를 표현한다. 아르메니아어에서 가정법은 두가지의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다.
- 가정법 미래
- 가정법 과거
가정법 미래
1. 가정법 미래의 구성 : 동사원형의 어간+인칭어미
1) 가정법 미래형 인칭어미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
-ել 동사 | եմ | ես | ի | ենք | եք | են |
-ալ 동사 | ամ | աս | ա | անք | աք | ան |
2) 예제
긍정문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գրել | գրեմ | գրես | գրի | գրենք | գրեք | գրեն |
կարդալ | կարդամ | կարդաս | կարդա | կարդանք | կարդաք | կարդան |
부정문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գրել | չգրեմ | չգրես | չգրի | չգրենք | չգրեք | չգրեն |
կարդալ | չկարդամ | չկարդաս | չկարդա | չկարդանք | չկարդաք | չկարդան |
2. 가정법 미래의 용법
1) 서술형이나 의문형으로 만들어져 소망이나 권고를 나타내는 기원의 의미
- Գամ՛ տեսնեմ՛ հիչ կա: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가서 볼래요.
- Ասե՞մ, թե չասեմ: 말할까? 말하지 말까?
2) 명령이나 제안, 축복이나 저주를 표현하기 위해 접속사 որ(that)으로 시작하는 종속절에서 사용되는 의무의 의미
- Աստված չանի, որ ձյուն գա: 신은 눈이 오는 것을 금했다.
- Աստված լինի, քո օգնականը: 신은 너의 조력자이시다.
- Անիծվի՛ այն օրը: 그날을 저주하리라!
- Չլինի՛, որ ուշանաս: 늦지않도록 해라!
3) 목적이나 목표를 표현하기 위해 որ(that)나 որպեսզի(하기 위해서)로 소개되는 종속절에서 사용하는 "최종"의 의미.
- Ջանացի, որ գործս վերջացնեմ: 나는 나의 업무을 끝내려고 노력했다. (ջանալ 노력하다, վերջանալ 끝내다)
- Եվա, որպեսզի մի բան խնդրեմ: 나는 어떤 것을 요청하기 위해서 왔다. (խնդրել 요청하다)
4) 합시다 또는 하지맙시다의 의미를 갖는 1인칭 복수 명령형.
- երգենք 노래합시다 -> չերգենք 노래하지 맙시다
- խոսենք 말합시다 -> չխոսենք 말하지 맙시다
- խաղանք 놉시다 -> չխաղանք 놀지 맙시다
5) 접속사 եթե로 시작하는 종속절에서 사용되는 "조건"의 의미
- Եթե ողջ մնանք, շատ բան նեք տեսնելու: 우리가 살아있다면 많은 것을 보게될 것이다. (ողջ 1)전체, 2) 살아있는)
6) 접속사 երբ로 시작하는 종속절에서 사용되는 "일시적인"의 의미
- Երբ վաղը մեկնես, ետ չնայես: 내일 떠난다면 뒤를 보지말아라
가정법 과거
1. 가정법 과거의 구성 : 동사원형의 어간+인칭어미
1) 가정법 과거형 인칭어미
규칙동사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ել 동사 | եի | եիր | եր | եինք | եիք | եին |
-ալ 동사 | այի | այիս | ար | այինք | այիք | ային |
2) 예제
긍정문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գրել | գրեի | գրեիր | գրեր | գրեինք | գրեիք | գրեին |
կարդալ | կարդայի | կարդայիս | կարդար | կարդայինք | կարդայիք | կարդային |
긍정문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գրել | չգրեի | չգրեիր | չգրեր | չգրեինք | չգրեիք | չգրեին |
կարդալ | չկարդայի | չկարդայիս | չկարդար | չկարդայինք | չկարդայիք | չկարդային |
3) 불규칙 동사 : տալ, գալ, լալ은 -ալ 동사의 규칙을 따른다.
տալ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가정법 미래 | տամ | տաս | տա | տանք | տաք | տան |
가정법 과거 | տայի | տայիս | տար | տայինք | տայիք | տային |
2. 가정법 과거의 용법
1) 실현될 수 없는 소망
가정법 과거는 가정법 미래의 기원에 대한 의미와 비슷하다. 그러나 거기에는 차이가 있는데, 가정법 과거는 실현 될 수 없는 소망을 나타낸다. 이것은 과거에 발생했거나 발생하지 않았던 사건이나 행위에 대해 표현한다. 긍정형 의 경우, 과거에 바랬지만 실현되지 않은 것을, 부정형의 경우, 과거에 바라지 않았지만, 발생했던 것을 표현한다.
보통, 기원의 의미는 երանի՛ թե...., կուզեի որ, ու՛ր է(ր) որ...(나는 바란다) 등 공식으로 시작되는 문장을 형성한다.
- Ո՞ւր է որ չահեիր: 나는 너가 이겼기를 바랬다. (하지만, 너는 그렇지 못했다)
- Երանի՛ թե այնտեղ չլինեի: 나는 거기에 있지 않기를 바랬다. (하지만 나는 거기에 있었다)
2) 미래에 대한 소망
가정법 과거시제는 또한 미래에 대한 소망을 언급하는데 사용되어진다. 이렇듯, 가정법 과거시제와 가정법 미래시 제는 의미상 매우 가깝다.
- գնամ տեսնեմ նրան 나는 그를 보러 갈 것이다.
- գնայի տեսնեի նրան 나는 그를 보러 갈 것이다. (소망의 결과는 어렵거나 실현 불가능)
하지만, 후자는 어렵거나 실현 불가능한 훨씬 더 절박한 바램을 표현한다.
- թռչեի մտքով տուն... 집으로 날아갈 생각을 한다 (միտք 1. 생각, 2. 의도 -> մտքով 생각속에, 머리속에)
3) 가정법 과거는 երբ나 հենց որ(~하자마자) 등 접속사로 소개되어지는 종속절에 종종 사용되어진다.
- Հենց որ նա ներս մտներ, կատակներն սկսկւոմ էին: 그가 안으로 들어오자마자 농담은 시작되었다.
(կատակ 농담 -> կատակ անել 농담하다)
4) 접속사 եթե로 시작되는 종속절에서 가상적인 조건을 표현한다. 이 형태는 행위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발생할 것으로 의심되는 것을 암시한다.
- Եթե գայիր, գուցե իրար հանդիպեինք: 너가 왔다면 아마 서로 만났을텐데.
5) 정중한 태도로 부탁을 요청하거나 요구하는 대화에 사용되어진다.
- Լավ կլիներ, որ գնայիր եւ Մարոյին կանչեիր: 가서 마로를 불러와 주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바쁘시더라도 1초만 시간을 내주셔서 공감 및 댓글을 달아주시겠어요?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휴먼노마드로 살아 가는 법 > 아르메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전치사와 후치사 (0) | 2019.11.10 |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수동태 (0) | 2019.11.10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의문문 (0) | 2019.11.09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명령문 (0) | 2019.11.07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미래시제 (0) | 2019.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