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118)
휴먼노마드
대명사의 종류 1. 인칭대명사 2. 소유대명사 3. 지시대명사 4. 의문대명사 5. 관계대명사 6. 재귀대명사 7. 한정대명사 8. 비한정대명사 9. 부정대명사 비한정대명사 비한정대명사는 의문대명사에 소사(접두사나 접미사)가 붙어 다음과 같이 특정/불특정(비한정)대명사를 만든다. 1. 비한정대명사의 종류 1) 의문사가 접두사 кое-나 접미사 -то(=some)와 결합하여 특정(비한정)대명사를 만든다. 가. 접미사 -то는 화자(말하는 이)와 청자(듣는 이) 모두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객체를 가르킨다. 예문 1) Кто-то стучит в дверь 어떤 사람이 문을 두드리고 있다. 예문 2) Вам звонила какая-то женщина 어떤 여자가 너에게 전화했어 나. 접두사 кое-(구어체에..
대명사의 종류 1. 인칭대명사 2. 소유대명사 3. 지시대명사 4. 의문대명사 5. 관계대명사 6. 재귀대명사 7. 한정대명사 8. 비한정대명사 9. 부정대명사 한정대명사 우선 이 대명사에 관해서는 용어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블로그나 유투브)에서는 정대명사(정해져 있는)와 부정대명사(정해져있지 않은)로 구분되거나 학계논문에 보면 한정대명사(대상이 확정된)와 비한정대명사(대상이 확정되지 않은)로 구분하는 양갈래를 보이고 있다. 왜 이런 용어에서의 차이를 보이는지 모르겠다. 그래서 러시아어 원문 문법책에서 이 용어에 대해 조사하니 아래와 같이 나온다. определённое местоиме́ние determinative pronoun 대상이 확정된 대명사 неопределённое местоиме..
대명사의 종류 1. 인칭대명사 2. 소유대명사 3. 지시대명사 4. 의문대명사 5. 관계대명사 6. 재귀대명사 7. 한정대명사 8. 비한정대명사 9. 부정대명사 재귀대명사 себя 1. 재귀대명사는 행위의 영향이 화자(말하는 이)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을 표현한다. 보통 문장에서의 себя는 주어를 나타내지만 어떤 경우에는 문장의 다른 객체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예문) Она довольна собой 그녀는 자신에게 만족한다. Я знал людей всегда довольных собой 나는 사람들이 언제나 자신에게 만족한다는 것을 안다. 2. 재귀대명사는 주격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 себя себе себя собой себе 예문) 생격 : Э́то авто́гр..
대명사의 종류 1. 인칭대명사 2. 소유대명사 3. 지시대명사 4. 의문대명사 5. 관계대명사 6. 재귀대명사 7. 한정대명사 8. 비한정대명사 9. 부정대명사 관계대명사 1. 종류 1) который 가. 절과 절을 연결한다. 예문) Это мой друг Коля. Коля живёт в Ялте. 이 사람은 내 친구 꼴랴입니다. 꼴랴는 얄타에 살고 있습니다. -->Это мой друг Коля, (Коля) который живёт в Ялте. 이 사람은 얄타에 살고 있는 내 친구 꼴랴입니다. 나. 명사(사람, 사물)를 선행사로 갖는다. 예문) 사람 : Девушка, которая любит собак, моя близкая подруга. 개를 좋아하는 아가씨는 나의 친한 여자친구이다. 사물..
대명사의 종류 1. 인칭대명사 2. 소유대명사 3. 지시대명사 4. 의문대명사 5. 관계대명사 6. 재귀대명사 7. 한정대명사 8. 비한정대명사 9. 부정대명사 (명목)의문대명사의 격변화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사격 кто кого кому кого кем ком что чего чему чего чем чём Сколько Скольких Скольким Сколько Сколькими Скольких 특성 1. кто(누구)와 что(무엇), Сколько(얼마나)는 성, 수의 구별이 없다. 2. кто는 남성명사로 что는 중성명사로 취급한다. 3. кого는 "코보"라고 읽고, чего는 "치보"라고 읽는다. (형용)의문대명사의 격변화 1. какой (어떤) 남성 중성 여성 복수 주격 к..
대명사의 종류 1. 인칭대명사 2. 소유대명사 3. 지시대명사 4. 의문대명사 5. 관계대명사 6. 재귀대명사 7. 한정대명사 8. 비한정대명사 9. 부정대명사 지시대명사 это тот 남성 여성 중성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복수 этот эта это эти тот та то те 특성 1. это는 화자(말하는 이)에서 가까운 것을 지칭하고 тот은 화자에서 먼 것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2. это와 тот는 명사를 수식할 때 형용사처럼 명사의 수와 성, 격에 따른다. 3. это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불변). 의미는 "이것은 ~입니다" 또는 "거기에는 ~이 있습니다"로 쓰인다. 1) это новый дом 이것은 새집입니다. 2) это дом новый 이집은 새것입니다. 4. это는 단..
대명사의 종류 1. 인칭대명사 2. 소유대명사 3. 지시대명사 4. 의문대명사 5. 관계대명사 6. 재귀대명사 7. 한정대명사 8. 비한정대명사 9. 부정대명사 소유대명사 남성 여성 중성 복수 나 мой моя моё мои 너 твой твоя твоё твои 그 его 그녀 её 우리 наш наша наше наши 당신 ваш ваша ваше ваши 그들 их * 소유대명사는 형용사의 역할은 한다. 따라서, 형용사처럼 수식어의 성, 수, 격과 일치한다. 소유대명사의 격변화 1. 소유대명사의 단수형태 я ты 남성 여성 중성 복수 남성 여성 중성 복수 주격 мой моя́ моё мои́ твой твоя́ твоё твои́ 생격 моего́(мой) мою́ моё мои́х(мои́) т..
대명사의 종류 1. 인칭대명사 2. 소유대명사 3. 지시대명사 4. 의문대명사 5. 관계대명사 6. 재귀대명사 7. 한정대명사 8. 비한정대명사 9. 부정대명사 인칭대명사 단수 복수 나 너 그/그녀 우리 당신 그들 я ты он/она мы вы они * вы는 ты의 존칭어이다. 인칭대명사의 격변화 단수 복수 주격 я ты он/она мы вы они 생격 меня тебя его/её нас вас их 여격 мне тебе ему/ей нам вам им 대격 меня тебя его/её нас вас их 조격 мной тобой им/ей нами вами ими 전치격 мне тебе нём/ней нас вас них 특성 1. 인칭대명사의 대격은 생격과 같다. (인칭대명사 자체가 활동..
러시아어의 명사는 격에 따라 변화한다. 격의 구분법 1. 주격 : 문장의 주어 "~은/는/이/가" 2. 생격 : 1) 소유격 "~의" 2) 나는 ~을 가지고 있다/없다 3. 대격 : 직접목적어 "~을/를" 4. 여격 : 간접목적어 "~에게" 5. 전치격 : 전치사와 함께 쓰인다. 주로 시간과 장소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6. 조격 : 수단, 자격, 동반 "~와", "~로써", "~에 의해" 정보 1. 조격변화 1) 단수형태 가. 남성명사의 어미가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 끝에 ом를 삽입한다. (단, ж, ц, ч, ш, щ가 강세없이 끝나는 경우 ем을 삽입한다) 나. 남성명사의 어미가 й나 ь로 끝나는 경우 ем로 변화한다. 다. 여성명사의 어미가 а로 끝나는 경우 ой로 변화한다. (단, ж, ц, ч,..
러시아어의 명사는 격에 따라 변화한다. 격의 구분법 1. 주격 : 문장의 주어 "~은/는/이/가" 2. 생격 : 1) 소유격 "~의" 2) 나는 ~을 가지고 있다/없다 3. 대격 : 직접목적어 "~을/를" 4. 여격 : 간접목적어 "~에게" 5. 전치격 : 전치사와 함께 쓰인다. 주로 시간과 장소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6. 조격 : 수단, 자격, 동반 "~와", "~로써", "~에 의해" 정보 1. 전치격변화 1) 단수형태 가. 남성/여성/중성명사 모두 기본적으로 어미 -е를 갖는다. 나. 여성명사의 어미가 ь로 끝나는 경우 и로 변화한다. 다. ия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ие로 끝나는 중성명사는 ии로 변한다. 라. 중성명사의 어미가 мя로 끝나는 경우 мени로 변화한다. 마.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