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노마드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발음규칙 본문

휴먼노마드로 살아 가는 법/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발음규칙

LifeChallenger 2019. 10. 19. 22:51
반응형

 

 

출처 : 픽사베이

 

 

기식음

 

아르메니아어에서 문자의 발성은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뉘며, 무성음의 경우 기식음과 비기식음으로 나누어진다. 유성음과 무성음의 차이는 조음(음을 만들어냄)의 위치는 같으나, 성대를 사용하여 울려나오는 소리(유성음)이냐 아니냐(무성음)으로 나누어지며 또한, 이렇게 성대를 사용하지 않는 무성음의 경우는 기식을 동반하느냐(기식음) 아니냐(비기식음)으로 구별할 수 있다. 그렇다면 기식이란 무엇일까? 

 

기식, 영어로는 aspirated sound라고 하여 우리말의 거센소리인 ㅋ/ㅌ/ㅍ/ㅊ에 해당하며, 비기식은 unaspirated sound라고 하여 우리말의 된소리인 ㄲ/ㄸ/ㅃ/ㅆ/ㅉ에 해당한다.

 

이런 발성체계에서 아르메니아어의 자음체계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유성음 무성음 1 (기식음) 무성음 2 (비기식음)
բ փ պ

 

위 자음의 발성체계는 음성학상 다음의 규칙을 따른다.

1. 모음이나 자음 մ와 ր의 뒤에서 유성음 բ는 기식음 փ로 발음한다.

- խաբել(속이다), շաբաթ, Հակոբ, երբ, նուրբ(연한), ուրբաթ, սուրբ(성스러운), համբույր(키스), համբերել(참다)

2. 자음 ղ의 뒤에서 유성음 բ는 비기식음 պ로 발음한다.

- եղբայր, ողբ(한탄, 애통), աղբ(쓰레기)

 

유성음 무성음 1 (기식음) 무성음 2 (비기식음)
գ ք կ

 

위 자음의 발성체계는 음성학상 다음의 규칙을 따른다.

1. 모음의 뒤에서 유성음 գ는 기식음 ք로 발음한다.

- հոգս(걱정), ուրագ(자귀), հոգնակի(복수), շոգ, ձիգ(꽉끼는), ձագ(젊은이), կարագ(버터), իգական(여성), թագավոր(왕), օգնել, օգուտ(이익), հագնել(입다), շոգի(증기):

2. 자음 ր뒤에서 유성음 գ는 기식음 ք로 발음한다.

- կարգ(열), մարգարիա(진주), մարգարե(예언자), երգ(노래), միրգ, երգել, թարգմանել(번역하다), պարգև(선물):

 

유성음 무성음 1 (기식음) 무성음 2 (비기식음)
դ թ տ

 

위 자음의 발성체계는 음성학상 다음의 규칙을 따른다.

1. 모음과 자음 ր의 뒤에서 유성음 դ는 기식음 թ로 발음한다. 

- օդ(공기), դադար(정지), զարդ(장식), բարդ(복합단지), բուրդ(양모), մարդ, վարդ(장미), նյարդ(신경), բերդ(요새), օրիորդ(미쓰), ջարդ(대학살), որդ(벌레), երդում(맹세), արդար(방금), որդի, արդեն:

2. 어떤 단어에서는 자음 ն의 뒤에서 유성음 դ는 기식음 թ로 발음한다. 

- անդամ(회원), խնդիր(문제), կենդանի(동물), ընդամենը(전체적으로), ընդարձակ(널찍한)

3. 어떤 단어나 단어의 마지막에 오는 유성음 դ는 비기식음 տ로 발음한다. 

- այդ, խեղդել(다투다), հոդված(기사), 소유 2인칭 어미인 -դ:

 

유성음 무성음 1 (기식음) 무성음 2 (비기식음)
ղ խ  

 

위 자음의 발성체계는 음성학상 다음의 규칙을 따른다.

1. 자음 Ձ(ձ), Ջ(ջ)앞에 있는 유성음 ղ는 무성음 խ로 발음한다.

- դեղձ(복숭아), աղջիկ(아가씨, 딸), չղջիկ(방망이)

2. 자음 Թ(թ)앞에 있는 유성음 ղ는 무성음 խ로 발음한다. 

- թուղթ(종이), մաղթել(바라다), հաղթանակ(승리)

 

유성음 무성음 1 (기식음) 무성음 2 (비기식음)
ձ ց ծ

 

ձ는 d로 시작해 z로 끝나는 발음이며 영어의 kids에서 ds의 발음이며 ց는 우리말의 "ㅊ", ծ는 우리말의 "ㅉ"에 해당한다.

위 자음의 발성체계는 음성학상 다음의 규칙을 따른다.

1. ր의 뒤에서 ձ는 ց로 발음된다. 

- բարձր(높은), փորձ(시도), բարձ(베개), արձակ(산문), դերձակ(재단사), վարձել(임대하다)

 

유성음 무성음 1 (기식음) 무성음 2 (비기식음)
ջ չ ճ

 

위 자음의 발성체계는 음성학상 다음의 규칙을 따른다.

1. 모음뒤에서 유성음 ջ는 չ로 발음된다.

2. 자음 ր뒤에서 유성음 ջ는 չ로 발음된다.

3. 자음 ղ뒤에서 유성음 ջ는 չ로 발음된다.

 

 

모음 ը의 발음 규칙

 

모음 ը는 강세를 갖지 않은 유일한 모음이며 다음과 같은 규칙을 갖는다. 

1. ը가 항상 쓰여질 때

   1) 단어의 마지막에 사용되는 한정관사 ը : մարդը, սեղանը, լուրերը(그 뉴스) 

   2) ղ, մ, ն의 자음앞에 있는 ը : ըդձալ(갈망하다), ըմբռնել(쥐다), ընկեր

   3) ը로 시작되는 단어의 복합어 : դասընկեր, նորընտիր(새로 선출된), անընդունակ(서투른)

 

2. 약하게 발음되지만 쓰여지지 않을 때

   1) 자음 բ, պ, փ, գ, ք, կ, տ, թ앞에 ս, զ가 사용되는 경우 첫마디에 ը를 약하게 발음한다. 

   - զբաղմունք(직업), սփոփանք(혼합), զգալ(느끼다) 

   2) 자음 զ, շ, ս뒤에 խ, գ, ր, ռ, ք, փ가 오는 경우 두 철자의 사이에 ը를 넣어 발음한다. 

   - սխալ(잘못), սգալ(한탄하다), սրահ(홀), շռայլ(쓸데없는), շքեղ(찬란한), շփել(문지르다)

   3) 단어의 앞머리에서 연속되는 두 자음의 사이에 ը를 넣어 발음한다. 

   - քնար(수금), պտուղ(과실), հմայք(매혹적인), պտույտ(산책로), մտածել(생각하다)

   4) 3개의 연속된 자음에서는 첫 자음뒤에 ը를 넣어 발음한다. 

   - սնդուկ(트렁크), մտնել(들어가다), սրտագին(심장의), գնդակ(공), զսպել(기울다)

   5) 4개이상의 연속된 자음에서는 첫 자음뒤와 두번째 또는 세번째 자음뒤에 ը를 넣어 발음한다.

   - մկրտել(세례하다), տրտնջալ(불평하다), կսկծալ(비통해하다)

   6) 단어의 끝에서 연속되는 자음이 올때 자음 ռ, ր, ղ앞에 ը를 넣어 발음한다.

   - ծանր(무거운), աստղ(별), վագր(호랑이)

   7) 단어의 끝에서 연속되는 자음이 올때 자음 ս, դ앞에 ը를 넣어 발음한다.

   - մայրս(나의 엄마), աչքերդ(너의 눈)

 

 

임시 모음

 

아르메니아어는 단어에 포함된 모음의 수에 따라 음절을 나눈다. 하지만 이러한 규칙이 아르메니아어의 모든 단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단어들은 이음절이지만 하나의 모음으로 이루어진다. 

- նկար 그림 -> ն(ը)կար 2음절

- մկրտել 세례를 주다 -> մ(ը)կ(ը)տել 3음절 

 

위의 예제처럼 분명히 발음되지만 쓰여지지 않는 모음을 "임시모음"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transitory vowel이라고 한다. 

이 임시모음에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적용된다. 

 

1. 단어의 시작부분에 두개의 자음사이에 ը가 위치한다. 

- մնալ(մընալ) 머무르다, գնալ(գընալ) 가다, թթու (թըթու)신, կտոր(կըտոր) 조각, տվար(տըվար) 약한, սխալ(սըխալ) 실수 등

 

2. 단어의 시작부분에서 ս, զ, շ의 뒤에 파열음 բ, պ, փ, կ, տ, թ가 올 때, ը가 ս, զ, շ의 앞에 위치한다.

- զգույշ(ըզգույշ) 신중한, սկսել(ըսկըսել) 시작하다, զգալ(ըզգալ) 느끼다.

 

3. 부정사 չ는 동사의 앞에 ը가 위치한다.

- չլինել(չլինել) 존재하지 않는다, չգիտեմ(չգիտեմ) 모른다.

 

4. 조건절의 미래 접두사인 կ의 뒤에 ը가 위치한다. 

- կգամ(կըգամ) 나는 올 것이다, կվազեմ(կըվազեմ) 나는 뛸 것이다.

 

5. 소유관사 -ս, -դ, -ն가 있는 경우 명사의 뒤에 ը가 위치한다.

- տունդ(տունըդ) 너의 집, մատս(մատըս) 나의 손가락.

 

6. 강세가 없는 단어의 끝에 ը가 위치한다. 

- արկղ(արկըղ) 박스, աստղ(աստըղ) 별, մետր(մետըր) 미터

 

 

중복된 이중자음의 발음

 

아르메니아어에서는 이중모음은 없으나 하나의 자음이 중복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이런 중복된 자음를 어떻게 발음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본다. 

 

1. 이중자음에는 임시모음 ը를 넣어 발음한다. 

2. 하지만 이중자음뒤에 모음이 오면 이중자음은 하나의 자음으로 길게 발음한다.

3. 또한, 복수형으로 인하여 중복되는 ն의 경우에는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자음으로 길게 발음한다. 

 

 

주의해야할 발음

 

 

다음의 발음은 한국어의 발음과 다르기에 주의하여 발음할 필요가 있다. 실제 아르메니아어에는 하기의 발음에 따라 단어의 의미변화가 심하다. 

 

* ㅈ.ㅊ.ㅉ의 발음계열

- Ջ(ջ)는 Japan의 (j)발음에 가깝고 영문발음표기는 j로 표기한다.  

- Զ(զ)는 zebra의 (z)발음에 가깝고 영문발음표기는 z로 표기한다.

- Ձ(ձ)는 hands의 (ds)발음에 가깝고 영문발음표기는 dz로 표기한다.

- Ժ(ժ)는 leisure, measure의 (s)발음에 가깝다.

- Ծ(ծ)는 짧게 "ㅉ"로 발음한다, 비슷한 발음으로 hats의 (ts)발음에 가깝다

- Ճ(ճ)는 mischief의 (ch)발음에 가깝고, 영문발음표기는 ts'로 표기한다.

- Ց(ց)는 cats의 (ts)발음에 가깝다.

- Չ(չ)는 church, choice, check에서 "ch"의 발음에 해당하고 ch 또는 c로 표기한다.

Շ(շ)는 Shower에서 "sh"에 해당, 한국어에서는 "쉬"에 해당한다. 비슷한 발음기호로 ս는 "ㅆ"에 해당한다.

 

Голос 013.m4a
0.29MB

 

음성속의 발음은 Ձ(ձ), Ճ(ճ), Ժ(ժ), Ծ(ծ), Զ(զ), Ց(ց), Չ(չ)의 순서대로 되어 있다.

 

 

실제 단어의 발음에서는 문자의 위치에 따라 음의 변화가 발생하기에 기본음을 숙지하여 익힐 필요가 있다. 

 

* ㅎ의 발음계열

- Հ(հ)는 "ㅎ"로 발음한다. 

- Խ(խ)는 bach의 (ch)에 해당하며 영문발음표기는 kh로 표기한다. 

- Ղ(ղ)는 성대로부터 나오는 소리이며 영문발음표기는 gh로 표기한다. 프랑스어의 r발음이 이에 해당한다.

예제) Խաղող 포도 khaghogh 하호흐

 

하하하.m4a
0.03MB

 

* լինել 동사의 긍정 인칭변화형은 앞의 단어와 연이어 발음한다. ինձ է սա: 인츠 에 싸(X) -> 인체 싸(O)

 

 

도움이 되셨다면 바쁘시더라도 1초만 시간을 내주셔서 공감 및 댓글을 달아주시겠어요?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