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노마드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결과분사 본문
한정된 수의 동사와 -վել로 끝나는 모든 수동태의 동사는 결과분사로 알려진 특별한 형태를 가진다.
1. 신체의 다양한 포즈를 나타내는 동사로부터 만들어진다.
- նստել(앉다), պառկել(눕다), կանգնել(서다), ընկնել(쓰러지다), կախվել(매달리다) 등
2. 감정적, 신체적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로부터 만들어진다.
- բարվանալ(화내다), հոգնել(피곤하다), մեռնել(죽다), խռովել(속상하다), զարմանալ(기절하다), հուսահատվել(절망하다) 등
3. 삽입사 -վ-를 갖는 타동사에서 파생된 수동동사
- հուզվել(이동시키다), ոգևորվել(흥분하다), վառուցվել(지어지다), գտնվել(발견되어지다) 등.
결과분사의 형태
아르메니아어에서 결과분사는 동사원형의 어간에 -ած를 첨가하고 보조동사 լինել의 현재 또는 과거 인칭변화로써 만들어진다. 결과분사의 의미가 이전 행위의 결과로써 현재까지 지속되는 주체의 상태를 표현하면 լինել의 현재 인칭변화가 쓰이고, 이전 행위의 결과가 과거의 한 시점까지 지속되면 լինել의 과거 인칭변화를 사용한다.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
현재시제 | -ած եմ | -ած ես | -ած է | -ած ենք | -ած եք | -ած են |
과거시제 | -ած էի | -ած էիր | -ած էր | -ած էինք | -ած էիք | -ած էին |
예제)
նստել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현재시제 | նստած եմ | նստած ես | նստած է | նստած ենք | նստած եք | նստած են |
과거시제 | նստած էի | նստած էիր | նստած էր | նստած էինք | նստած էիք | նստած էին |
նստել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현재시제 | նստած չեմ | նստած չես | նստած չէ | նստած չենք | նստած չեք | նստած չեն |
과거시제 | նստած չէի | նստած չէիր | նստած չէր | նստած չէինք | նստած չէիք | նստած չէին |
հուզվել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현재시제 | հուզված եմ | հուզված ես | հուզված է | հուզված ենք | հուզված եք | հուզված են |
과거시제 | հուզված էի | հուզված էիր | հուզված էր | հուզված էինք | հուզված էիք | հուզված էին |
հուզվել | ես | դու | նա | մենք | դուք | նրանք |
현재시제 | հուզված չեմ | հուզված չես | հուզված չէ | հուզված չենք | հուզված չեք | հուզված չեն |
과거시제 | հուզված չէի | հուզված չէիր | հուզված չէր | հուզված չէինք | հուզված չէիք | հուզված չէին |
결과분사의 용법
1. 직설법 현재시제가 행위가 진행중 임을 나타내는 반면, 결과분사 현재시제는 이전 행위에 대한 결과로써의 상태를 표현한다.
직설법 현재시제 | 결과분사 현재시제 | ||
նստում է: | 그는 앉고 있다. | նստած է: | 그는 앉아 있다. |
բարկանում է: | 그는 화내고 있다. | բարկացած է: | 그는 화나 있다. |
կառուցվւոմ է: | 그것은 지어지고 있다. | կառուցված է: | 그것은 지어졌다. |
양쪽의 어순은 긍정형인 경우 동일하지만 부정형일 경우, 아래와 같이 어순이 바뀐다.
직설법 현재시제 | 결과분사 현재시제 | ||
չի նստում: | 그는 앉고 있지 않다. | նստած չէ: | 그는 앉아 있지 않다. |
չի բարկանում: | 그는 화내고 있지 않다. | բարկացած չէ: | 그는 화나 있지 않다. |
չի կառուցվւոմ: | 그것은 지어지고 있지 않다. | կառուցված չէ: | 그것은 지어져 있지 않았다. |
위와 같이 부정형이 직설법과 결과분사가 다른 이유는 결과분사를 동사의 한 부분이 아닌 형용사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2. 일반 동사의 결과분사는 현재시간으로 사람의 상태를 표현하는 하지만, 행위의 수동동사에 대한 결과분사는 과거시간을 표현한다.
- քնած են 그들은 잠들어 있다. (현재시간)
- հոգնած են 그들은 피로한 상태이다. (현재시간)
- կառուցված են 그것들은 지어졌다. (과거시간)
- ավարտված են 그것들은 완성되었다. (과거시간)
따라서, 수동동사의 현재, 과거, 미래는 아래와 같이 표현되어질 수 있다.
과거 | 현재 | 미래 |
կառուցված է: | կառուցվում է: | վառուցվելու է: |
위의 문장에 대한 미완료시제 또한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과거 | 현재 | 미래 |
կառուցված էր: | կառուցվում էր: | վառուցվելու էր: |
도움이 되셨다면 바쁘시더라도 1초만 시간을 내주셔서 공감 및 댓글을 달아주시겠어요?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휴먼노마드로 살아 가는 법 > 아르메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메니아어] 노래 - Ով՛ սիրուն, սիրուն (0) | 2019.11.14 |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구동사와 이부 동사(two-part verb) (0) | 2019.11.13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형용사 (0) | 2019.11.11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명사화 (0) | 2019.11.11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당위법 (0) | 2019.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