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노마드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명사의 격변화 본문

휴먼노마드로 살아 가는 법/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명사의 격변화

LifeChallenger 2019. 11. 5. 01:22
반응형

출처 : 픽사베이

 

아르메니아어를 조금이라도 공부한 사람이라면 명사의 격변화에 대해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런 격변화는 인물과 사물로 구분하여 해석하는 차이가 난다. 인물의 경우는 우리말과 크게 차이가 없으나 사물의 경우는 그 괘를 달리하기에 주의해서 보아야한다. 

 

주격

 

간단하게 말해서, 명사의 주격이란 명사가 주어나 보어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1. 주격에서 명사는 주어로써의 역할을 하며 ով(누구), ինչ(무엇)에 대한 대답에서 사용되어진다.

- Արամը վառ գույներ էր սիրում: 아람은 밝은 색을 좋아했다. -> Ո՞վ վառ գույներ էիր սիրում:

- Գորգս նոր է: 나의 카페트는 새것이다. -> Ի՞նչ նոր է:

 

2. 주격에서 명사는 주어의 보어로써의 역할을 한다.

- Եղբայրս բժիշկ է: 나의 형은 외과의사이다.

- Արամը մնում է ընկերս: 아람은 나의 친구로 남는다.

 

3. 그밖의 용법

   1) 방향을 나타내는 장소에 사용된다. 

   - Երբայրս ամեն օր գնում է համալսարան: 나의 형은 매일 대학교에 간다.

   2) 시간을 나타내는 명사에 사용된다. 

   - Գիշերը եղբայրս ուշ վերադառծավ տում: 밤에 나의 형은 늦게 집으로 돌아왔다.

   3) 측정을 나타내는 명사에 사용된다. 

   - Մեկ օրում նա կարդաց հիսուն էջ: 하루동안 그는 50페이지를 읽었다.

   4) 한정용법에서의 명사에 사용된다. 

   - Բժիշկ Միքայելյանը սրտաբան է: 의사인 미카엘은 심장병 전문의이다.

 

 

대격

 

대격은 문장내에서 명사가 갖는 의미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다. 아르메니아어에서 대격은 활동체와 비활동체로 분리된다. 여기에서 활동체는 여격과 동일하며, 비활동체는 주격과 동일하다. 

 

문장내에서 대격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1. 타동사에 의해 직접목적어의 역할을 수행한다.

- Հայրը գովում է որդուն: 그 아버지는 아들을 칭찬한다. -> Ո՞ւմ է հայրը գովում:  

- Նկարներս տեսա՞ր: 내 그림들을 본적 있니?(대격-주격과 동일) -> Ինչ տեսա՞ր: 

 

2. 의문사 ուր(어디에)에 대한 대답으로써 장소부사의 역할을 수행한다.

- Վերջապես տուն եկա: 마침내 집에 왔다.

- Երբեմն գրադարան էի գնում: 나는 가끔 도서관에 가곤 했다.

- 위의 문장에서 집과 도서관은 장소부사로 해석되었지만, 실제는 명사의 대격이다.

 

3. 의문사 երբ(언제)에 대한 대답으로써 시간부사의 역할을 수행한다.

- Մի օր էլ նա անհետագավ: 어느 날 그는 사라졌다.

- Հաջորդ տարի կտեսնվենք: 내년에 우리는 서로 볼 것이다.

- 위의 문장에서 날과 년은 시간부사로 해석되었지만, 실제는 명사의 대격이다.

 

4. 치수나 크기를 가르키는 부사적 어구로 사용되어지며 의문부사 որքան(얼마나 많이)에 대한 대답으로 활용된다.

- Երեք բաժակ գինի խմեցի: 나는 와인 세 잔을 마셨다. <- Որքա՞ն գինի խմեցիր:

- Տասը մղոն քայեցինք: 우리는 10 마일을 걸었다. <- Որքա՞ն քայեցիք:

 

일반적인 복수어미인 -(ն)եր를 갖는 대격 복수형은 한정사 -ը/-ն을 가질 수도 있지만 -ք, -իկ나 -այք로 끝나는 대격 복수형은 한정사를 갖지 못한다.

- Երեխաներն ուշացան: 아이들은 지각했다.

- Մարդիկ ուշացան: 사람들은 지각했다.

 

대격의 복수에서 대격이 사람을 지칭할 때 생격이나 여격을 사용하는 반면 사물을 지칭할 때는 주격-대격(동일)을 사용한다.

- Պաշտպանե՛նք երեխաներին: 아이들을 보호하자(երեխաների 생격-여격)

- Պաշտպանե՛նք մեր անտառները: 우리의 숲을 보호하자(անտառներ 주격-대격)

 

대격지배동사

- թողնել(떠나다), նվիրել(선물주다), պատնել(말하다), տալ(주다), ուղարկել(보내다)

 

 

생격과 여격

 

아르메니아어에서 생격과 여격은 기본적으로 그 형식이 같다. 다만, 그 기능이 다를뿐이다. 생격은 언제나 한정관사없이 사용되는 반면, 여격은 한정관사가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1. 생격 : 생격은 주로 소유를 나타내며, 때때로 유래나 귀속을 나타내기도 한다. 생격은 수식하는 명사의 앞에 위치한다. 

   1) 생격의 어미에 따라 -ի, -ու, -ան, -յան, -վա, -ոջ로 나눈다.

   - Երևանի խաղողը 예레반산 포도 (-ի 격변화) 

   - մադրու երազները 남자의 꿈 (-ու 격변화)

   - նռան գույնը 석류색 (-ան 격변화)

   - ուրախության արցունքները 기쁨의 눈물 (-յան 격변화)

   - տարվա եղանակները 연간 시즌 - 계절 (-վա 격변화)

   - քրոջս ամուսինը 내 누나의 남편 (-ոջ 격변화)

 

   2) 명사의 생격은 종종 명사에서 파생된 형용사와 동의어로 작용한다.

   - մոր սերը = մայրական սերը 어머니의 사랑

   - թագավորի պալատը = թագավորական պալատը 왕궁

   - տան աշխատանք = տնային աշխատանք 집안일, 가사

   

   3) 어떤 전치사를 생격을 요구한다. 

   - առանց աշխատանքի 일없이

   - հորս մասին 나의 아버지에 대하여

 

2. 생격의 용법

   1) 소유

   - Տղայի սենյակը լուսավոր է ու մաքուր: 아이의 방은 밝고 깨끗하다.

   2) 기원과 출처

   - Համալսարանի հասցեն չգիտեմ: 나는 대학교 주소를 모른다.

   3) 어떤 것의 일부분

   - Գրքերի կեսը հայերեն է: 책의 절반이 아르메니아어이다.

   4) 목적

   - Նա գնացել է համալսարան դասի (համար): 그는 수업을 위해서 대학교에 갔었다. 

   5) 한정 수식

   - Սարի ծաղիկները հոտավետ են: 산의 꽃들이 향기롭다.

 

3. 여격 : 여격의 주요 기능은 행위에 대한 수혜자를 나타낸다. 

   1) 많은 동사가 두개의 목적어(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갖는다. 이런 동사는 수여동사라고 한다.

   - Գիրքս ուսանողին տվեցի: 나는 책을 학생에게 주었다.

   - Խնդիրը քեզ բացատրել եմ: 나는 그 문제를 너에게 설명했다. 

 

* 여격은 또한 다양한 부사적 용법을 갖는다.   

   2) 시간부사

   - Մայիսին վարդերը բացվում են: 5월에 장미가 핀다.

   - Կեսգիչերին մի ձայն լսեցի: 자정에 나는 어떤 소리를 들었다.

   

   3) 장소부사

   - Նա դռանը կանգնած է: 그는 문에 서있다.

   - Կտուրին մի թռչուն էր երգում: 지붕에는 새 한마리가 지저귀고 있었다. 

 

   4) 수량부사

   - Հազար դրամի գնեցի: 나는 천 드람으로 그것을 샀다.

   - Մենք նույն տարիքի մարդիկ ենք: 우리는 동갑내기이다.

 

   5) 목적부사

   - Ճաշի գնացինք: 저녁먹으로 갑시다.

   - Եկանք օգնելու: 도와주러 왔어.

 

3. 여격지배동사

- օգնել, հանդիպել, մոտենալ, սպասել, նայել

 

탈격

 

1. 탈격의 구성

 

아르메니아어의 탈격은 영어의 전치사 from이나 of로 간주된다. 이러한 탈격은 명사나 대명사에 탈격어미인 -ից나 -ուց를 첨가하여 만든다. 

 

- տուն 집 -> տնից 집으로부터

- արևելք 동쪽 -> արևելքից 동쪽으로부터

- դու 너 -> քեզնից 너로부터

- մարդ 사람 -> մարդուց 사람으로부터

 

하지만, 몇몇 단어는 생격에 기초하여 탈격을 형성한다. (이런 규칙은 단수에만 적용된다)

 

주격 단수 생격 단수 탈격 단수
հայր հոր հորից
քույր քրոջ քրոջից

 

이 단어들의 탈격복수는 일반적인 규칙을 따른다. 

 

주격 단수 주격 복수 탈격 복수
հայր հայրեր հայրեր-ից
քույր քույրեր քույրեր-ից

 

어떤 명사의 생격이 -ա로 끝나면, 그 명사의 탈격은 생격과 탈격어미 -ից사이에 -ն-를 삽입한다. 

 

주격 단수 생격 단수 탈격 단수
աղջիկ աղջկա աղջկա-ն-ից
օր օրվա օրվա-ն-ից

 

2. 탈격의 용법

   1) 탈격지배동사나 형용사에 의해

   - Այս շնից վախենում եմ: 나는 이 개가 무섭다 -> 나는 이 개로부터 무서움을 느낀다. (վախենել 탈격지배동사)

   - Աչքից հեռու, մտքից հեռու: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 (հեռու 탈격지배 형용사)

  

   2) 상황을 좀 더 자세히 묘사할 때 사용된다. 

      가. 행위나 사건의 시작점

      - Այս նվերն ստացել եմ մորիցս: 이 선물을 어머니로부터 받았다. -> 질문) ումի՞ց 누구로부터

 

      나. 행위가 시작된 지점

      - Որտեղի՞ց ես գալիս: 너는 어디에서(부터) 오니? Շուկայից 시장에서(부터)

      

      다. 사람이나 사물의 기원이 되는 장소나 재료

      - Երկուսս ել նույն հորից ենք: 우리 둘다 같은 아버지로부터 존재한다 -> 우리 둘다 같은 아버지를 가지고 있다.

      - Շենքը կառուցեցին քարից: 그들은 그 건물을 돌로 지었다. (կառուցեցին -> կառուցել의 단순과거시제)

      - հորից에 대응하는 의문사는 ունի՞ց이고 քարից에 대응하는 의문사는 ինչի՞ց이다.

 

      라. 행위나 사건의 시작시간

      - Մեկ շաբաթից կգամ: 나는 일주일후에 올 것이다. 질문) ինչքան ժամանակից:(얼마후에)

      - Անցիալ տարվանից այստեղ ենք: 우리는 작년부터 여기에 있다. 질문) երբվանից:(언제부터)

      - 상응하는 의문사인 ինչքան ժամանակից은 미래에 대응하며, երբվանից는 과거에 대응한다. 

 

      마. 행위나 상태의 원인

      - Ցրտից դողում եմ: 나는 추위때문에 떨고 있다.

      - Սովից շատեղը մահացան: 기근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մահանալ 죽다)

 

      바. 전체로부터 떨어져 나간 한 부분

      - Քույրերից մեկը սա է: 이 사람은 누나들중 한명이다.

      - Այս հացից մի կտոր կե՛ր: 이 빵의 한 조각을 먹어라!.

 

      사. 비교법

      - Ոսկին արծաթից (ավելի) թանկ է: 금은 은보다 비싸다.

      - Ես քեզանից արագ եմ կազում: 나는 너보다 빨리 달리 수 있다.

 

      아. 주어가 간접목적어로 위치를 될 때 탈격은 수동태를 만든다.

      - Խոտը խանձվեց արևից: 풀은 햇빛에 (의해) 타 들어갔다.

      - թշնամին հաղթվեց մեր կողմից: 적은 우리 편에 의해 패배했다.

 

3. 탈격지배동사

- խնդրել(요구하다), հոգնել(피곤하다), վախենալ(무서워하다), դժգոհել(불평하다), վերցնել(가져가다)

 

 

조격

 

1. 조격의 구성

아르메니아어의 조격은 영어의 전치사구와 같다. with, by, on 등. 즉, 아르메니아어에서는 명사나 대명사에 조격어미를 더하여 이러한 기능을 대체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격어미는 -ով이다. 

- ստք 발 -> ստքով 도보로 (on foot)

- մատիտ 연필 -> մատիտով 연필로 (with a pencle) 

- էս 나 -> ինձանով 나와 (with me)

 

-ություն을 갖는 추상명사는 이러한 규칙에서 제외된다. 그것들은 조격 단수에서 -ությանբ의 조격어미를 갖는다. 

- դժվարություն 어려움 -> դժվարությանբ 또는 դժվարությունով 

- ուրախություն 즐거움 -> ուրախությանբ 또는 ուրախությունով

 

2. 조격의 용법

   1)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나 수단

   - Հացը դանակով են կտրում: 빵은 칼로 잘렸다.

   - Չեմ սիրում ինքնաթիռով ճանապարհորդել: 나는 비행기로 여행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2) 하나의 물건에 다른 것을 추가함

   - Սուրճը կաթով եմ սիրում: 나는 우유를 넣은 커피를 좋아한다.

   - Այս ապուրը բրնձով են եփում: 그들은 쌀을 넣은 이 스프를 요리한다.

 

   3) 행위가 발생하는 방식, 방법

   - Նա հուզմունքով լսեց ինձ: 그는 감정적으로 나의 말을 들었다.

   - Համբերությանբ սպասեցի: 나는 인내를 갖고 기다렸다. 

 

   4) 시간의 제한된 기간을 표현할 때 단수형을 사용한다.

   - Մեկ շաբաթով եկա: 나는 일주일후에 왔다.

 

   5) 시간의 확장을 표현할 때 복수형을 사용한다.

   - Օրերով / շաբաթներով / ամիսներով նրան չտեսա: 나는 몇일동안/몇주일동안/몇달동안 그를 보지 못했다.

 

3. 조격지배 동사와 형용사

- զբաղվել(바쁘다), հիանալ(경외하다), ուրախանալ(행복하다), հպարտանալ(자랑하다)

- Այս գումարով բավարարվում եմ: 나는 이 액수에 만족한다. (բավարարել 만족하다 -> բավարարվել 만족시키다)

- Մենք հպարտ ենք մեր անցյալով: 우리는 우리의 과거가 자랑스럽다 (հպարտ 자랑스러운)

 

4. 조격과 (아르메니아어의) 전치사구의 차이점

조격의 기능적 의미는 հետ나 միջոցով와 같은 전치사로 표현되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형태는 조격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 Ձկան հետ սպիտակ գինի են խմում: 그들은 생선과 (함께) 백포도주를 마신다.

- Միայն ձկով չեմ կշտանա: 생선만으로 배부르지 않는다.

- Մարդկանց հե՞տ եկա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올거니?

- Փողոցները լցված էին մարդկանցով: 거리는 사람들로 가득찼다.

- գնացքի հետ 기차를 따라(with train) / գնացքով 기차를 타고(by train)

- աշխատանքի հետ 일하느라(with work) / աշխատանքով 일때문에 (by means of work)

 

 

위치격

 

1. 위치격의 구성

- 위치격은 주로 동사에 의해 표현되어진 행위가 발생한 위치를 나타낸다. 위치격에는 어미 -ում가 주로 사용된다. 

 

2. 위치격의 용법

아르메니아어의 다른 격과는 달리 모든 명사가 위치격을 갖는 것은 아니며, 추상명사, 인칭명사,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일반명사나 시간명사, 동사의 명사화 등 많은 명사들이 위치격을 갖지 못한다. 하지만, 어떤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위치격의 의미가 필요한 경우, 명사의 생격에 후치사 մեջ으로 위치격을 표현하기도 한다. 

- շաբաթվա մեջ = in the week (그 주에)

- ուրախության մեջ = in the joy (즐거움에) 

- ուտելու մեջ = in eating (먹는 때에)

 

이렇듯 많은 경우에 위치격과 명사의 생격+մեջ는 서로 교환이 가능하다. 

다만, 경우에 따라 위치격은 장소를 뜻하고, 명사의 생격+մեջ는 방향을 지칭할 때가 있다.

 

도움이 되셨다면 바쁘시더라도 1초만 시간을 내주셔서 공감 및 댓글을 달아주시겠어요?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