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노마드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분사형 본문
아르메니아어에는 두가지 형태의 분사가 있다.
활용 분사
활용 분사란 일반적으로 동사활용에 활용되어 단독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분사이며 이런 기능때문에 비독립분사로 불리기도 한다. 긍정형이나 부정형에서 보조동사와 함께 사용된다.
1. 현재 활용분사 : 동사원형의 어간에 어미 -ում을 갖는다.
현재 활용분사 | 현재진행 긍정형 | 현재진행 부정형 | 과거진행 긍정형 | 과거진행 부정형 |
գրում | գրում եմ | չեմ գրում | գրում էի | չէի գրում |
կարդում | կարդում եմ | չեմ կարդում | կարդում էի | չէի կարդում |
* is writing/is reading 또는 was writing/was reading로 해석된다.
2. 과거 활용분사 : 동사원형의 어간에 어미 -ել/-ացել을 갖는다.
과거 활용분사 | 현재완료 긍정형 | 현재완료 부정형 | 과거완료 긍정형 | 과거완료 부정형 |
գրել | գրել եմ | չեմ գրել | գրել էի | չէի գրել |
կարդացել | կարդացել եմ | չեմ կարդացել | կարդացել էի | չէի կարդացել |
* have writen/have read 또는 had writen/had read로 해석된다.
3. 미래 활용분사 : 동사원형에 어미 -ու를 갖는다.
미래 활용분사 | 미래진행 긍정형 | 미래진행 부정형 | 과거진행 긍정형 | 과거진행 부정형 |
գրելու | գրելու եմ | չեմ գրելու | գրելու էի | չէի գրելու |
կարդալու | կարդալու եմ | չեմ կարդալու | կարդալու էի | չէի կարդալու |
* is going to write/is going to read 또는 was going to write/was going to read로 해석된다.
4. 부정분사 : 동사원형의 어간에 어미 -ի/-ա를 갖는다.
부정분사 | 현재부정 | 과거부정 |
գրի | չեմ գրի | չէի գրի |
կարդա | չեմ կարդա | չէի կարդա |
독립분사
독립분사란 문장내에서 명사나 형용사, 부사로써 기능하며 독립성을 갖는 분사를 말한다.
1. 현재 독립분사 : 동사원형의 어간에 어미 -ող/-ացող를 갖는다.
현재 독립분사 | 예문 | 해석 |
գրող | նամակ գրող մարդը | 편지를 쓰고 있는 사람 |
կարդացող | թերթ կարդացող հարևանս | 신문을 읽고 있는 나의 이웃 |
2. 과거 독립분사 : 동사원형의 어간에 어미 -ած/-ացած를 갖는다.
과거 독립분사 | 예문 | 해석 |
գրած | նամակ գրած մարդը | 편지를 썼던 사람 |
կարդացած | թերթ կարդացած հարևանս | 신문을 읽었던 나의 이웃 |
3. 미래 독립분사 : 동사원형의 어간에 어미 -ելիք/-ալիք를 갖는다.
미래 독립분사 | 예문 | 해석 |
գրելիք | մարդու գրելիք նամակը | 그 사람이 쓸 편지 |
կարդալիք | հարևանիս կարդալիք թերթ | 나의 이웃이 읽을 신문 |
미래 독립분사는 관계절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 կառուցվող քաղաքը = քաղաքը, որ կառուցվում է: 지어지고 있는 도시
- կառուցած քաղաքը = քաղաքը, որ կառուցվել է: 지어진 도시
- կառուցվելիք քաղաքը = քաղաքը, որ կառուցվելու է: 지어질 도시
4. 동시분사 : 동사원형에 어미 -իս를 가진다.
동시분사는 비록 동사활용으로 보여질 수 있으나 대부분 독립적인 부사적 용법을 가지고 있으며 주된 행위와 동시에 발생하는 행위를 표현한다.
동시분사 | 예문 | 해석 |
գրելիս | գրելիս սխալվել | 쓰는 동안 실수하다 |
խոսելիս | խոսելիս կակազել | 말하는 동안 더듬거리다 |
վազելիս | վացելիս ընկնել | 달리는 동안 넘어지다 |
분사의 명사화
아르메니아어에서 독립분사는 손쉽게 명사화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독립분사는 한정관사나 소유관사, 복수접미사 등을 가진다. 또한, 부정형의 경우에는 부정접두사 չ-를 가지기도 한다. 명사화라는 말에서 보듯이 이 또한 격변화를 하는데 이 때는 -ի 격변화를 갖는다.
1. 보통 행위를 수반하는 인물에 대해 언급할 때 -ող의 어미를 갖는다.
명사화 분사 | 한정관사 | 부정접두사 | 복수접미사 |
խոսող 말하는 이 | խոսողը 말하는 사람 | չխոսող 말하지 않는 사람 | խոսողները 말하는 사람들 |
- Աշխատողը սոված չի մնա: 일하는 자는 굶주리지 않는다.
- չխոսողների մասին 말하지 않는 자들에 대하여 (չ-խոսող-ներ-ի 부정접두사+복수접미사+생격)
- Չխոսողներից վախեցիր: 말하지 않는자들을 조심해라! (탈격)
2. 사건이나 사실, 사물에 대해 언급할 때는 -ած의 어미를 갖는다.
명사화 분사 | 소유관사 | 부정접두사 | 복수접미사 |
տեսած 본 것 | տեսածս 내가 본 것 | չտեսածս 내가 보지 않은 것 | տեսածներս 내가 본 것들 |
* 소유관사와 인칭 : տեսածս(내가 본 것), տեսածդ(너가 본 것), տեսածը(그가 본 것)
하지만, 감정의 상태나 신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նստել(앉다), կանգնել(서다), հոգնել(피곤하다), տխրել(애도하다), քնել(자다))에서 파생된 분사는 어미 -ածը/-ածն을 갖으며 이때는 사물이나 사건이 아닌 인물을 나타낸다.
- Քնածն ու մեռածը նույնն է: 잠들어 있는 사람이나 죽은 사람이 매한가지다.
간결성은 분사의 명사화에 가장 중요한 특징이며 이런 특징은 속담에 자주 등장한다.
- Լեզվի ծակածին դեղ չկա: 다친 혀에는 약이 없다.
- Ուզածը ասողը չուզածը կլսի: 그가 원하는대로 말하는 자는 그가 원하는 것을 듣지 못할 것이다.
3. 명사로써 나타내어질 때는 어미 -իք를 갖는다.
- Ասելիքս ասում եմ ու գնում, բայց լինելիքը լինելու է:
내가 말해야 하는 것을 말하고 갔지만 결국 일어날 일은 일어날 것이다.
4. 많은 분사들이 동사원형의 격변화형태를 갖는다.
1) 생격 : երգել -> երգելու, խաղալ -> խաղալու, պառկել -> պառկելու
- խմելու ջուր 마시는 물 - գնալու տեղ 갈 곳 - ապրելու ցանկություն 살려는 욕망
2) 조격 : գրել -> գրելով, կարդալ -> կարդալով 방도부사의 역할을 한다.
- Կարդալով լեզու չես սովորի, խոսելով կսովորես: 읽기로 언어를 배우지 않고 말하기로 배울 것이다.
도움이 되셨다면 바쁘시더라도 1초만 시간을 내주셔서 공감 및 댓글을 달아주시겠어요?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휴먼노마드로 살아 가는 법 > 아르메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유사동사의 비교 (0) | 2019.11.18 |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문장부호 (0) | 2019.11.17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대명사 (0) | 2019.11.16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가설법 (0) | 2019.11.15 |
[아르메니아어] 중급문법 - 연음현상(Liaison) (0) | 2019.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