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휴먼노마드로 살아 가는 법 (772)
휴먼노마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UH4c/btqw1RYBp4a/2WR1iGeuzL3b1ayJuxdVP0/img.jpg)
지난 한주는 아르메니아어의 문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언어를 배움에 있어 문법은 오히려 실생활에 필요한 회화를 익히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에 대략 어떤 원리나 특성이 있는지만 익히고 회화를 중심으로 공부하는 편이 언어를 빠르게 익히는데 도움이 됩니다. 실제 우리가 사용하는 모국어조차 문법으로 해석이 안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죠. 아르메니아어를 공부함에 있어 가장 힘든 것은 자료가 많지 않을뿐만 아니라 있더라도 구하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천상 유튜브를 통해 익혀야하는데 오늘은 그중 그나마 체계적인 학습과정으로 이루어진 채널을 소개할까 합니다. Peace Corp Armenia 유튜브 채널 Peace Corps Armenia Welcome to the official YouTube channel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4kK8/btqw0JfzMQG/5p8jlicE38Gxs9ez8HucN1/img.jpg)
어순 (Ենթակայի և ստորոգյալի շարադասությունը) 문장에서 주어와 술어의 위치 (Ենթակայի և ստորոգյալի շարադասությունը) 아르메니아어에서 주어는 보통 술어의 앞에 위치한다. - Երեխան քնած է խախաղ քնով: 아이는 조용히 자고 있다. - Լուսինը ծածկվեց ամպերի ետևում: 달은 구름뒤에 가려졌다. 하지만 술어의 뒤에 놓일 수도 있다. - Անցավ ցուրտ ձմեռը: 추운 겨울이 끝났다. - Եկան գարնան անուշ օրերը: 달콤한 봄날이 왔다. 아르메니아어에서 어순을 비교적 자유롭기에 하나의 생각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 Աշակերտները գնում են դպրոց: 학생들은 학교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LSq3/btqwZ0bkzPm/ZDzg3Ur1LXNkAs6BLSj2H0/img.jpg)
구문론 (Շարահյուսություն) 문장은 하나의 끝마친 생각을 표현하는 하나의 단어나 단어그룹으로 구분된다. Երևանը Հայաստանի մայրաքաղաքն է: 예레반은 아르메니아의 수도이다. Նա պարապում է գրադարանում: 그는 도서관에서 공부한다. 문장은 단문과 복문으로 나누어지며 단문은 하나의 생각을 표현하고 복문은 하나이상의 생각을 표현한다. Նա աշխատում է գործարանում: 그는 공장에서 일한다. Գիշերը պարզ է, երկինքը ջինջ է ու կապուտակ: 밤에는 하늘이 투명하고 파랗다. 1. 단문 (Պարզ նախադասություն) : 단문은 확장단문과 비확장단문으로 구분된다. 1) 확장단문 (ընդարձակ) : 문장의 주요소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bfit/btqwYTcBu55/7DHwVQKMQjI5Ylx03fonN0/img.jpg)
의미와 소리에 의한 단어의 분류 (Բառերի տեսակներն ըստ իմաստի և ձևի) 아르메니아어에서 단어는 의미와 소리에 의해 구분된다. 1. 동음이의어 (նույնանուն or համանուն) : 소리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단어. - այր 남자 - 동굴; ավել ~이상-빗자루 ; կետ 얼룩 - 고래 ; հարկ 세금 - 가게 ; մատ 손가락 - 바닥깔개 ; սեր 사랑 - 크림 ; փող 관(튜브) - 돈, 2. 동의어 (հոմանիշ) : 소리는 다르지만 동일의 의미를 가지는 단어. - պատուհան - լուսամուտ (창문), մազ - վարս - հեր (머리카락), ձի - նժույգ - երիվար (말(동물)), - լավ - սիրուն - գեղեցիկ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LXeI/btqwZiXjC7L/8n2HRDGaNMiorMaRmVe0Zk/img.gif)
합성어 (Բարդության տեսակները) 아르메니아어에서 합성어는 두가지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1. 현실적 합성어(Իսկական բարդություններ) : - հեռախոս 전화기, քաղցրաձայն 감미로운, ջրաղաց 물레방아, կարմրադրոշ 빨간 커렌트을 가진, 1) 구성요소는 연결모음 -ա-에 의해 연결된다. - գրադարան (= գր + ա + դարան) 도서관, - բոցավառ (= բոց + ա + վառ) 맹렬한, - ժամացույց (= ժամ + ա + ցույց) 시계, - հրամանատար (= հրաման + ա + տար) 사령관, 2) 구성요소가 모음으로 시작되면 연결모음 -ա-이 사용되지 않는다. - թանաքաման (= թանաք + ամ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vB67V/btqw0mRBrrJ/zkr3XI6iwzUOTAVOCfnHm0/img.jpg)
어휘와 조어법 (Բառագիտություն և Բառակազմություն) 아르메니아어에서 단어의 구성요소는 어간(արմատ), 접사(ածանց), 어근(հիմք) 그리고 어미(վերջավորություն)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գործարանում(공장에서)라는 단어는 4가지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գործ (어간), -արան (접사), գործարան (어근)와 -ում (어미) 어간 (արմատ) 어간은 그것의 일반적이고 주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한 단어의 분리될 수 없는 부분이며 모든 관련 단어들의 어휘적 의미를 정의한다. 아래의 단어에서 어휘적인 의미는 어간인 աշակերտ(학생)의 의미와 연결된다. - աշակերտական = աշակերտ(학생) + ական(형용사어미) : 공부하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HNMp/btqw0aqh14X/rR5aM37jAK5JLb0gUXEqZk/img.jpg)
접속사 (Շաղկապ)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접속사는 등위접속사와 종속접속사로 구분된다. 1. 등위접속사 (համադասական) : 동종의 문장요소를 연결한다. և and, ու and, իսկ but, կամ or, բայց but, and, սակայն though, ևս also, էլ also, թե' ~թե' and ~and, կամ ~կամ or ~or, ո'չ ~ո'չ neither ~ nor, այլ but, այլև also, - Աշոտը և Արամը գնում են դպրոց: 아소트와 아람은 학교에 간다. - Քամին դադարեց, բայց դեռ չէր կտրվել: 바람은 멈쳤지만 비는 아직 멈추지 않았다. 2. 종속접속사 (ստորադասական) : 주절에 종속절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7Ffu/btqwYGQ8Abw/vRuOYiWJkoSHDNidPY6DJk/img.jpg)
전치사와 후치사 (Կապ) 아르메니아어에는 많은 전치사와 후치사가 사용되어진다. - Երեխաները նստած են ծառի տակ: 아이들은 나무아래 앉아있다. - Գրքերը դրված են սեղանի վրա: 그 책들은 책상위에 있다. - Հայրը որդու համար գնեց նկարազարդ գիրք: 아버지는 그의 아들을 위해 그림책을 가져왔다. - Նա եղբոր հետ եկավ: 그는 그의 형과 같이 왔다. - Առանց քո համաձայնության նա ոչ մի տեղ չի գնա: 그는 너의 허락없이 어디에도 가지 않을 것이다. 그중 후치사는 전치사보다 많으며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다. 1. 전치사 առանց - without, դեպի - to, մինչև - till, 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zJeK/btqwZjnmVua/SfkEK8zpkSje2lCfe35dz0/img.jpg)
부사 (Մակբայ) 부사는 일반적으로 동사와 관련이 있으며 문장속에서 수식어로써 활용된다. - Այժմ նա աշխատում է ժամացույցների գործարանում: 지금 그는 시계공장에서 일하고 있다. - Ամենուրեք եռում է աշխատանքը: 일은 모든 곳에서 한창 진행중이다. - Նա հերոսաբար կռվեց թշնամիների դեմ: 그는 용맹스럽게 적과 싸웠다. 어떤 부사는 형용사를 수식할 수 있다. - Սուրենը շատ լավ ընկեր է: 수렌은 정말 좋은 친구이다. (부사 շատ는 형용사 լավ를 수식한다) 부사는 몇몇의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를 제외하고는 변화하지 않는다. - 시간 : 지금 այժմ - այժմվա - այժմվանից, 내일 վ..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oasc/btqwXfl9HdG/5Isd7Z1dzK4BwGIY5wkmNK/img.jpg)
기원법 (Ըղձական եղանակ) 기원법은 미래시제와 미래완전시제를 갖는다. 기원법의 미래시제는 바라는 행위가 일어나는 것을 표현한다. - Գնամ տուն, տեսնեմ նրան: 나는 집에 가서 그를 보려고 한다. - Հանդիպեմ Սուրենին ու պատմեմ այդ մասին: 나는 수렌을 만나 그에게 모든 것을 말하려고 한다. 기원법의 미래시제는 동사원형 어미의 마지막 글자인 -լ을 다음의 인칭어미로 대체함으로써 완성된다.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3인칭 1인칭 2인칭 3인칭 미래시제 -մ -ս - -նք -ք -ն 이런 인칭어미는 1식과 2식 동사에 모두 적용된다. 다만, 3인칭 단수에서 -ի를 첨가한다. 이러한 이유로 լսե가 아닌 լսի가 된다.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3인칭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