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118)
휴먼노마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wpIl/btqzD59e4Cr/ebBIXVVJZeKaznVWcfMJKK/img.jpg)
형용사의 기능 다른 많은 언어들처럼 아르메니아어의 형용사 또한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 명사를 수식 - 동사의 보어역할 - 동사를 수식 하지만, 이런 세가지 기능외에도 아르메니아어의 형용사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명사로써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형용사는 한정관사, 소유관사를 가질 수 있으며 명사의 -ի 격변화를 갖으며 물론, 복수형어미 -ներ를 갖을 수 있다. - չարն ու բարին 악과 선 일반적으로 형용사는 사람을 언급할 때 사용되어진다. 영어와 달리 아르메니아어는 이런 경우 복수형을 사용한다. - հարուստները 부유한 사람들(부자) = the rich - անվանիները 유명한 사람들(유명인) = the famous - երիտասարդները 젊은 사람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OCzX/btqzDtvHOUp/3EtIIZEgdqrOlDMsL51tKK/img.jpg)
동사원형의 명사화 형태 아르메니아어의 동사원형은 손쉽게 명사화된다. 이러한 동사의 명사화는 2가지 형태가 있다. - 한정관사 -ը/-ն을 갖는 형태 - 소유관사 -ս, -դ, -ը/-ն을 갖는 형태 동사 한정관사 소유관사 երգել 노래하다 երգելը 그 노래하는 것 երգելս 나의 노래하는 것 խաղալ 놀다 խաղալը 그 노는 것 խաղալդ 너의 노는 것 խոսել 말하다 խոսելը 그 말하는 것 խոսելը 그의/그녀의 말하는 것 명사화된 동사원형의 격변화 명사화된 동사원형은 일반명사처럼 격변화를 갖는다. 다만 이 경우는 -ու 격변화를 따른다. 1. 한정관사를 갖는 동사원형 한정관사 주격 생격 여격 대격 탈격 조격 երգել երգելը երգելու երգելու երգելը երգե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fIVl9/btqzGpEEdkx/aRwOpXgQriHX7L5SOJrUA1/img.jpg)
아르메니아어의 당위법(~해야한다)에는 4가지 시제가 있다. 당위법 미래시제 1형, 2형 1. 당위법 미래시제 1형의 구성 : 조동사 պիտի 또는 պետք է와 가정법 미래시제 - գրեմ 가정법 미래시제 -> պիտի գրեմ / պետք է գրեմ - կարդամ 가정법 미래시제 -> պիտի կարդամ / պետք է կարդամ 긍정형 ես դու նա մենք դուք նրանք պիտի + գրեմ գրես գրի գրենք գրեք գրեն պետք է + կարդամ կարդաս կարդա կարդանք կարդաք կարդան * 위의 표에서 պիտի와 պետք է는 상호교환이 가능하다. 부정형 ես դու նա մենք դուք նրանք չպիտի + գրեմ գրես գրի գ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KCVp/btqzE0Fu0b9/epJzo9WCN0Tt9Zfep0yLp0/img.jpg)
아르메니아어에서 어떤 접미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 단순동사와 같은 문장요소에서 파생되어 동사를 만든다. 1. 명사, 형용사, 부사로부터 동사를 만들기 위해 -ել과 -ալ을 사용한다. 1) -ալ을 갖는 자동사 가. 명사로부터 파생 - քար 돌 -> քարանալ 단단해지다 - ընկեր 친구 -> ընկերանալ 친구가 되다 - բյուրեղ 수정 -> բյուրեղանալ 수정화되다. 나. 형용사나 부사로부터 파생 - մեծ 큰 -> մեծանալ 커지다, 자라다 - տաք 따뜻한 -> տաքանալ 따뜻해지다. - հեռու 멀어지는 -> հեռանալ 멀어지다. 출발하다 2) -ել을 갖는 자동사 가. 명사로부터 파생 - շունչ 호흡 -> շնչել 호흡하다 - գիշեր 밤 -> գի..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GVeQ/btqzFVpWKVq/AwdicgIPlHtIc9rd7QRt2K/img.jpg)
격변화는 별도로 문장에서는 단어간의 문법적 관계를 형성하는 특수단어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것들이 전치사와 후치사이다. 비록 그들 중 몇몇 단어가 명사나 대명사의 앞, 뒤에 놓여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치사는 명사나 대명사의 앞에 위치하고, 후치사는 명사나 대명사의 뒤에 위치한다. 아르메니아어에서는 전치사보다는 후치사가 더 많이 사용되어진다. 아르메니아어의 전치사나 후치사는 따라오는 명사나 대명사로 하여금 특수한 격을 갖도록 요구한다. 후치사 생격지배 후치사 여격지배 후치사 탈격지배 후치사 առաջ 의 앞에 տեղ 대신에 առաջ 이전에 առթեվ 하는 경우에 օրոք 동안에 այն կողմ 초과하여 դիմաց 에 직면하여 հակառակ* 반대하여 այս կողմ 옆에 դեմ 에 반대하여 համար 위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RJyb/btqzFWbjdXH/uSbgCtH4NlNJKhGV1O9ET1/img.jpg)
동사는 법(mood), 시제(tense), 인칭(person)이나 수(number)뿐만 아니라, 태(voice)를 표현한다. 여기에서 태는 주어가 행위의 행위자인지 혹은 수혜자인지 나타내곤 한다. - 능동태 : Մարդը ավտոմեքենան վաճառեց: 그 사람은 그 차를 팔았다. մարդ는 վաճառել의 행위자이며 ավտոմեքենա는 վաճառել의 수혜자이다. - 수동태 : Ավտոմեքենան վաճառվեց մարդու կողմից: 그 차는 그 사람에 의해 팔렸다. 이 문장에서 촛점은 행위자인 մարդ에서 ավտոմեքենա로 이동하였으며 목적어인 ավտոմեքենա가 주어의 위치에 놓인 반면 촛점을 잃은 주어 մարդ는 목적어의 위치에 놓였다. 따라서, ավտոմեքենա가 문법적 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yihC/btqzC2LkseO/Li2ORuauNg3AcMJ9JLR6S0/img.jpg)
사실이나 확실성에 입각한 직설법과는 달리, 가정법은 가능성, 상상의, 조건적 또는 선택적인 행위를 표현한다. 아르메니아어에서 가정법은 두가지의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다. - 가정법 미래 - 가정법 과거 가정법 미래 1. 가정법 미래의 구성 : 동사원형의 어간+인칭어미 1) 가정법 미래형 인칭어미 ես դու նա մենք դուք նրանք -ել 동사 եմ ես ի ենք եք են -ալ 동사 ամ աս ա անք աք ան 2) 예제 긍정문 ես դու նա մենք դուք նրանք գրել գրեմ գրես գրի գրենք գրեք գրեն կարդալ կարդամ կարդաս կարդա կարդանք կարդաք կարդան 부정문 ես դու նա մենք դուք նրանք գրել չգ..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UKvl/btqzEgu9ETn/lA54Sjkrg7CMx2LKzvJ541/img.jpg)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아르메니아어도 두가지 형태의 의문문을 갖는다. - 의문사를 이용하는 특수형태 - 대답의 YES, NO를 이끄는 일반형태 이런 두가지 형태를 근거로 아르메니아어 의문문의 특성을 알아보자 1. 영어에 대응하는 아르메니아어의 의문사 - ով(누구-who), ինչ(무엇-what), ուր(어디-where), երբ(언제-when), ինչու(왜-why), ինչպես(어떻게-how) 등 - Ո՞վ ասաց կրկին վերջին բառը: 누가 마지막 단어를 다시(կրկին) 말했니? 하지만, 의문문의 어순은 영어처럼 의문사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다. - Վերջին բառը կրկին ո՞վ ասաց: - Վերջին բառը ո՞վ կրկին ասաց: - Կրկին..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1Kza/btqzyYoJJkg/gGoqIkpua3z09WSKoCWjUk/img.jpg)
명령문은 2인칭 단수와 복수형으로 구성된다. 명령문 단수형 1. 규칙동사는 동사원형의 어미인 -ել를 -իր로 대체하고, -ալ을 -ա로 대체한다. - երգել 동사원형 -> երգիր 명령문 단수 - խոսել 동사원형 -> խոսիր 명령문 단수 - գնալ 동사원형 -> գնա 명령문 단수 - կարդալ 동사원형 -> կարդա 명령문 단수 2. -անալ, -անել, -ենալ, -նել, - չել의 어미를 갖는 동사는 단순과거시제의 어간에 -իր를 첨가한다. 동사원형 단순과거시제의 어간 명령문 հեռ-անալ 멀어지다, 떠나가다 հեռաց- հեռացիր մոտ-ենալ 가까워지다, 도착하다 մոտեց- մոտեցիր իջ-նել 내려가다 իջ- իջիր փախ-չել 도망가다 փախ-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bKMW/btqzAhVbzxM/q0dxeYmI5MUtmTWYX7dLy0/img.jpg)
아르메니아어에서 미래시제는 미래분사와 보조동사 լինել의 인칭변화형으로 구성된다. 미래분사 미래분사는 동사원형에 -ու를 첨가하여 만든다. - գրել 동사원형 -> գրելու 미래분사 - կարդալ 동사원형 -> կարդալու 미래분사 미래시제 1. 미래시제의 구성 : 미래분사 + լինել의 인칭 현재시제 գրել կարդալ ես գրելու եմ չեմ գրելու կարդալու եմ չեմ կարդալու դու գրելու ես չես գրելու կարդալու ես չես կարդալու նա գրելու է չի գրելու կարդալու է չի կարդալու մենք գրելու ենք չենք գրելու կարդալու ենք չենք կարդալու դուք գրե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