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118)
휴먼노마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cXiF/btqzzmJlNtn/4vz8Li7YRL3I7WU0nC9nHK/img.jpg)
아르메니아어에는 개인의 호감이나 애정을 표현하는 두가지 동사와 한가지 구동사가 존재한다. - սիրել : 사랑하다 - հավանել : 좋아하다 - դուր գալ : 마음에 들다 위의 동사중 սիրել은 영어의 to love보다 폭넓은 해석이 가능하며 때때로 հավանել(to like)의 의미와 겹치기도 한다. 그러나 սիրել과 հավամել의 사용에 있어 그다지 커다란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դուր գալ의 경우에는 상대에게 어떤 특별한 애정이 있을 때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դուր գալ의 용법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보자. 1. 선호하는 어떤 사물인 객체에서 주체로 촛점이 옮겨질 경우에는 "나는 X를 좋아한다" 보다는 "X는 나를 즐겁게 한다"를 많이 사용한다. - (Ես) հ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iJbn/btqzzISXFS8/77kidak3gPC2OHrcib5Byk/img.jpg)
아르메니아어에서는 영어와 달리 무인칭구문에서 대명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1. 일광과 온도의 변화를 표현할 때 3인칭 단수형을 사용한다. - Մթնում է:(어둡다) / լուսանում է:(밝다) / ցրտում է:(춥다) 2. 연결동사(է, չէ, էր, եդավ(լինել의 과거 3인칭 단수) 등)로 연결된 명사나 형용사를 가지는 무인칭구문은 다양한 상황이나 사건으로 평가된다. - (ան)կարելի (չ)է: (불)가능하다. - դժվար (չ)է: 어렵다(어렵지 않다). - ամոթ (չ)է: 부끄럽다(부끄럽지 않다). - վտանգավոր (չ)է: 위험하다(위험하지 않다). 3. Պետք է로 시작되는 구문 - Պետք է հասկանալ: 우리는 이해해야 한다. - Պետք չէ վհ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Sj5H/btqzv6T90PT/i6JHLBDck0YKpsKZT7FOW0/img.jpg)
모든 언어와 마찬가지로 아르메니아어에는 사회문화적으로 생성된 특수한 단어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어들은 다른 언어로 번역되기에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오늘은 이런 단어들 중 겸양사에 대해서 공부해본다. խնդրեմ 1. 영어의 please와 일치한다. - Ասա՛ / ասացե՛ք խնդրեմ: 말해 ! / 말씀하세요 ! - Պատուհանը փակե՞մ: 창문을 닫아도 될까요? - Այո, խնդրեմ: 네, 닫으세요. - Դուրը բա՛ց արեք, խնդրեմ: 문을 열어줄래요 2. 감사에 대한 응대로 사용되어진다. - Շնորհակալ եմ: 고마워요. - խնդրեմ: 별말씀을요./ 천만예요. 3. 어떤이에게 물건을 건낼 때 사용되어진다. - խնդրեմ: 여기 있어요. 4. 허락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Lvdx/btqzxCSkWzU/wzaJzoG8DRO2Ak21fGVbv0/img.jpg)
아르메니아어를 조금이라도 공부한 사람이라면 명사의 격변화에 대해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런 격변화는 인물과 사물로 구분하여 해석하는 차이가 난다. 인물의 경우는 우리말과 크게 차이가 없으나 사물의 경우는 그 괘를 달리하기에 주의해서 보아야한다. 주격 간단하게 말해서, 명사의 주격이란 명사가 주어나 보어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1. 주격에서 명사는 주어로써의 역할을 하며 ով(누구), ինչ(무엇)에 대한 대답에서 사용되어진다. - Արամը վառ գույներ էր սիրում: 아람은 밝은 색을 좋아했다. -> Ո՞վ վառ գույներ էիր սիրում: - Գորգս նոր է: 나의 카페트는 새것이다. -> Ի՞նչ նոր է: 2. 주격에서 명사는 주어의 보어로써의 역할을 한다. - 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Ns4W/btqztspRdYa/NQI0xklzUwaYohKZFPI2D1/img.jpg)
아르메니아어에서 명사는 구상명사(구체적인 물체를 나타내는 명사)와 추상명사로 구분된다. 추상명사 접미사 아르메니아어에서 추상명사를 만드는 접미사에는 -ություն, -ում, -անք 등이 있다. 1. -ություն는 아르메니아어에서 추상명사를 만드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접미사이다. 1) 형용사로부터의 추상명사 - առատ 풍부한 -> առատություն 풍부 - ուրախ 행복한 -> ուրախություն 행복 - ծանր 무거운 -> ծանրություն 무게 - մեծ 큰 -> մեծություն 거대함 - խաղաղ 평화로운 -> հաղաղություն 평화 2) 동사로부터의 추상명사 - քննել 검사하다 -> քննություն 검사 - օգնել 도움을 주다 -> օգնություն..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VGqc/btqzt4Wt5xe/6isXwHfCMtYkKu4JYk7AHK/img.jpg)
미완료시제 또는 불완전시제 미완료시제 또는 불완전시제 미완료시제란 과거의 행위나 사건이 진행중이거나 습관적 또는 반복적으로 현재까지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미완료시제는 현재분사와 보조동사 լինել의 과거시제로 구성된다. 1. 규칙동사의 미완료시제 գրել ես դու նա մենք դուք նրանք 긍정형 գրում էի գրում էիր գրում էր գրում էինք գրում էիք գրում էին 부정형 չէի գրում չէիր գրում չէր գրում չէինք գրում չէիք գրում չէին գրում 2. .불규칙동사의 미완료시제 գիտենալ ես դու նա մենք դուք նրանք 긍정형 գիտեի գիտեիր գիտեր գիտեինք գիտեիք գիտ..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g52e/btqzvJx7eKe/t4WGTKJzzAx3YQ6KH4Hms1/img.jpg)
합성어의 구성방식 아르메니아어의 합성어는 전형적으로 두가지 기본 요소로 구성되어지며 합성어를 형성할 때, 직접 연결되거나 연결모음인 -ա-에 의해 연결된다. 1. 직접 연결되는 경우 - կես(절반)+օր(하루) = կեսօր 정오, 자정 - ծով(바다)+ափ(기슭) = ծովափ 해안, 해변 2. 연결모음인 -ա-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 հյուր(손님)+ա+սենյակ(방) = հյուրասենյակ 거실 - հարց(질문)+ա+զրույց(대화, 토론) = հարցազրույց 면접 3. 첫번째 요소가 -ի로 끝나면 연결모음 -ա-대신 -ե-를 첨가한다. - գինի(와인)+ա+տուն(집) = գինետուն 와인 저장고 - շոգի(증기)+ա+նավ(배) = շոգենավ 증기선 4. 명사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l9pnc/btqzvHZHrkS/OmywVjTfDyBUcV3iKBh6Q0/img.jpg)
아르메니아어의 어순관련해서는 그 자유로운 문장형태로 인하여 여러 이견들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르메니아어의 어순은 영어와는 달리 기본적으로는 S+O+V의 형태를 갖는다는 것이 통설이다. 단문의 문장구조 아르메니아어의 어순에 관한 기본형은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에서 나타난다. - 평서문 (Ես) ժամանակ ունեմ: (나는) 시간을 가지고 있다. -> 시간이 있다. - 의문문 (Դու) դրամ չունե՞ս: (너는) 돈을 가지고 있지 않니? -> 돈이 없니? - 명령문 (Դու) գիրքս տու՛ր: 내 책을 줘 ** 이 문장처럼 동사 ունենալ을 주격보어(존재하다)로 볼 것이냐, 타동사(~을 가지고 있다)로 볼 것이냐에 따라 기본형을 SOV형(주어+목적어+동사)이냐, SVO형(주어+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nWvFU/btqzusbIFG3/ioCsQqlyiXwgCPqYm91VyK/img.jpg)
아르메니아어에서 명사의 복수형은 기본적으로 아래의 규칙을 따른다. 1. 단모음으로 구성된 명사는 복수형 어미인 -եր를 첨가한다. 2. 복수모음으로 구성된 명사는 복수형 어미인 -ներ를 첨가한다. 이런 복수형의 규칙에는 예외규정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단모음 명사의 복수형 1. 고대 아르메니아어에서 유래된 단모음 명사 լեռ նուռ մուկ ձուկ դուռ գառ եզ թոռ ռուս 산 석류 생쥐 생선 문 어린양 황소 손자 러시아인 լռներ նռներ մկներ ձկներ դռներ գառներ եզներ թոռներ ռուսներ 위의 예외규정은 고대 아르메니아어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լեռ նուռ մուկ ձուկ դուռ գառ եզ թոռ ռուս լեռն նուռն մուկն..
아르메니아어의 명사는 영어의 정관사, 부정관사와 같이 명사에 관사가 붙지만 그 용법은 조금 상이하다. 오늘은 아르메니아어의 관사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어본다. 부정관사 մի 아르메니아어의 부정관사는 명사의 앞에 մի를 첨부하여 사용되며 영어와 같이 불특정이거나 하나의 사물에 대해 적용하지만 서문체에서는 մի를 사용하지 않으며 구어체에서도 생략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이와 같은 현상은 셀 수 없는 명사에서 많이 발생한다. - մի տուն(집 한채), մի տղա(한 소년), մի վարդ(한송이 장미) - սա վարդ է 그것은 (한송이) 장미이다 - նամակ գրեցի 나는 (한통의) 편지를 썼다 - լավ գինի է: 그것은 (한병의) 좋은 와인이다 한정관사 -ը/-ն 아르메니아어의 한..